본문 바로가기

Spring Boot7

[Spring Boot] 디자인 패턴 | 팩토리 메서드, 추상 팩토리 1. 팩토리 메서드 - 인스턴스 생성 방법을 상위 클래스에서 결정하지만, 생성될 인스턴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는 하위 클래스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패턴이다. 팩토리 메서드를 포함하는 추상 클래스를 정의하고 하위 클래스에서 인스턴스 생성팩토리는 인터페이스로 추상화되어 구체 팩토리의 변경을 유연하게 함.구체 팩토리는 추상화된 객체를 생성함 -> 클라이언트와의 결합을 낮추고, 생성 객체의 확장성과 변경 용이를 보장함클라이언트는 결과적으로 어떤 객체가 생성될 것인지 알 필요가 없음// Product 인터페이스interface Button { void click();}// Concrete Productclass WindowsButton implements Button { public v.. 2025. 6. 2.
[Spring Boot] 기초 지식 | 디자인 패턴 | 생성 패턴, 구조 패턴, 행위 패턴 2.4 디자인 패턴2.4.2 생성 패턴 2.4.3 구조 패턴2.4.4 행위 패턴 2.4 디자인 패턴디자인 패턴 :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해결책이다. 2.4.2 생성 패턴- 객체 생성에 사용되는 패턴으로, 객체를 수정도 호출부가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팩토리 메서드: 인스턴스 생성 방법을 상위 클래스에서 결정하지만, 생성될 인스턴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는 하위 클래스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패턴이다. 팩토리는 인터페이스로 추상화되어 구체 팩토리의 변경을 유연하게 함.구체 팩토리는 추상화된 객체를 생성함 -> 클라이언트와의 결합을 낮추고, 생성 객체의 확장성과 변경 용이를 보장함클라이언트는 결과적으로 어떤 객체가 생서될 것이지 알 필요가 없음 추.. 2025. 6. 2.
[Spring Boot] 스프링 부트, 스프링 프레임워크 | 특징, 차이점 1.1 스프링 특징 1) 제어 역전(IoC) 2) 의존성 주입(DI) 3)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 4)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다양한 모듈 2.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스프링 부트 차이 1) 의존성 관리 2) 자동 설정 3) 내장 AWS 4) 모니터링 1.1.1 제어 역전(IoC) 사용할 직접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객체의 생명주기 관리를 외부에 위임한다. (여기서 외부란 스프링 컨테이너, IoC 컨테이너를 의미한다.)객체의 관리를 컨테이너에 맡겨 제어권이 넘어간 것을 제어 역전이라 부른다제어 역전을 통해 의존성 주입 (DI),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OP)이 가능하다1.1.2 의존성 주입 (DI) 의존성 주입이란 제어 역전의 방법 중 하나로, 사용할 객체를 .. 2025. 5. 25.